1 / 8

조장 황진범 조원 유나연 , 빈윤수 , 강민성 , 김용현

문화. 조장 황진범 조원 유나연 , 빈윤수 , 강민성 , 김용현. 문화란. 문화란 한 사회의 중요한 행동 양식이나 상징을 말한다 . 음악 , 미술 , 문학 , 연극 , 영화 와 같은 예술 분야와 사상 , 의상 , 언어 , 종교 , 의례 , 법 등 규범이나 가치관에서 나타난다 . 이런 것을 포함하여 문화는 “ 사회 전반의 생활 양식 ” 이라 할 수 있다 . 사람들은 대중문화나 유행과 같은 것들을 소비하면서 문화를 접하기도 한다 .

hova
Download Presentation

조장 황진범 조원 유나연 , 빈윤수 , 강민성 , 김용현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문화 조장 황진범 조원 유나연, 빈윤수, 강민성, 김용현

  2. 문화란 • 문화란 한 사회의 중요한 행동 양식이나 상징을 말한다. 음악, 미술, 문학, 연극, 영화 와 같은 예술 분야와 사상, 의상, 언어, 종교, 의례, 법 등 규범이나 가치관에서 나타난다. 이런 것을 포함하여 문화는 “사회 전반의 생활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사람들은 대중문화나 유행과 같은 것들을 소비하면서 문화를 접하기도 한다. • 문화랑 사회는 다르다. 사회가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면, 문화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이다.

  3. 한국 문화 • 한국 문화에 대한 외국인들이 갖는 편견과 오해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가장 주목을 받는 것은 개고기에 관련해서이다. 개고기는 현재 세계적으로 굉장히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음식이다. 다른 나라도 푸아그라나 원숭이의 뇌를 먹는 것처럼 한국의 문화를 인정해줘야 한다는 의견과 개를 먹는 것은 위생적이지 않을뿐더러 반려동물이기 때문에 먹으면 안 된다는 의견이 서로 부딪히고 있다. • 개고기는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굉장한 충격을 주었다. 그들은 개고기를 먹는 것이 야만적이고 비위생적이라고 생각하고 그것을 비상식적인 식품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가끔 소수의 사람들이 먹는 보양식인 개고기가 한국의 이미지를 깎고 있다

  4. 외국의 문화 • 사람들은 자기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문화를 자기들과 다르다고 해서 비판할게 아니라받아 드리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위에서와 같이 개고기를 먹는다고 해서 비판해 오는 것은 한국인이 영국인들에게 “너희들은 원숭이 뇌를 먹기 때문에 인간 쓰래기야” 라고 하는 것과 같다. 만약 모든 사람들이 이런 편견을 갖는다면 우리들의 마음과 생각은 세계로 퍼지지 못한다. 자기들과 다른 문화와 만났을 시에는 비판이 아닌 존경과 받아드리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5. 제스쳐 • 제스쳐란 몸을 움직여 말을 전하는 것이다. 하지만 제스쳐 또한 문화이다. 나라마다 몸짓의 뜻이 많이 다르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한국)에서는 얼굴을 좌우로 흔들면 “아니다, 싫다” 등 부정의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인도에서는 얼굴을 흔드는 자체가 긍정적인 뜻을 가지고 있다. 또 그리스와 터키에서는 고개를 앞으로 숙일떄에는 긍정적인 의미, 뒤로 젖히면 부정의 의미를 말한다. 이렇게 몸짓 또한 나라마다 다른 문화인 셈이다.

  6. 동물들의 문화 • 인간은 문화를 만들고 사용하는 유일한 동물인가? 이 물음에 대해 행동과학에서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이 물음에 대한 해답은 문화를 광의로 정의하느냐 협의로 정의하느냐에 달려있다. 문화를 광의로 정의하면 학습된 행위유형들의 복합체이다. 그러면 인간은 문화를 만들고 사용하는 유일한 동물이 아니다. 다른 동물들도 생존을 위해서 스스로 학습한 것을 새끼들에게 가르친다.

  7. 보고서 • 황진범-PPT만들기&자료 추가 • 유나연-자료 찾기 & 조원 활동 분배 • 김용현-자료 찾기 • 강민성-자료 찾기 • 빈윤수-자료 찾기

  8. The End 형편없지만 끝까지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