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6

2011. 5. 16.

표준화 전략과 국제표준화. 2011. 5. 16. 함 진 호 표준연구센터. *. 표준화 사례 – BetaMax vs. VHS. BetaMax : 1975 년 Sony U- Matic 기반의 자체 기술 중심 VHS : 1976 년 마쓰시다 중심 다수 일본 , 미국 , 유럽 세력 VCR 표준화전쟁에서의 변수 기술선도업체 , 생산업체 , 영화보급업자 화질 , 생산규모 , 라이센싱 , 녹화시간 , 소비자 … 1980 년말에 Sony 공식적으로 Beta 방식 생산 중단.

lucas
Download Presentation

2011. 5. 16.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표준화 전략과 국제표준화 2011. 5. 16. 함 진 호 표준연구센터

  2. * 표준화 사례 – BetaMax vs. VHS • BetaMax : 1975년 • Sony • U-Matic기반의 자체 기술 중심 • VHS : 1976년 • 마쓰시다 중심 다수 일본, 미국, 유럽 세력 • VCR 표준화전쟁에서의 변수 • 기술선도업체, 생산업체, 영화보급업자 • 화질, 생산규모, 라이센싱, 녹화시간, 소비자 … • 1980년말에Sony 공식적으로 Beta 방식 생산 중단 우수한 기술이 표준화 전쟁에서 항상 승리하는 것은 아니다

  3. * 표준화 사례 – QWERTY vs. Dvorak Keyboard • QWERTY • 1867년, 철자가 엉키는 잼 현상 완화를 위해 느린 키보드 개발 • Dvorak • 1936년, 초고속 타이프 입력을 위해 개발 • 70% 향상된 효율성과 손목의 피로도 개선 • “나는 인류를 위해 가치 있는 무언가를 노력하는데 지쳤다. 그들은 어리석게도 변화를 원치 않았다.” Dvorak … Dvorak Keyboard 경로의존성 고착현상 일단 정해진 표준은 쉽게 바꿀 수 없다

  4. * 표준화 사례 – 일본 자전거 표준 • 2차 세계대전 전까지 비교적 잘 운영 • 전후, 유럽자전거 일본 시장 진출, 시장경쟁력 상실 • 1954년, 일본 정부는 유럽산 자전거와의 경쟁을 위해 JIS 제정 • 자전거를 14개 부품으로 나누고, 각 부품당 평균 18개 부분품 구성 • 자전거 품질 향상에 기여 유럽 제품에 대항 • (3) JIS 표준의 전지구적 개방 • 중국과 대만의 제조업체도 동일 규격으로 자전거 생산 • 1990년 자전거 관세 폐지 • (4) 2000년 … • 수입액이 국내 생산을 초과하고, 일본 조제품 업체 거의 도산할 지경 표준을 잘못 만들면 국내산업을 고사시킬 수 있다.

  5. * 표준화 사례 – PC Motherboard • 인텔 • CPU의 대량 보급으로 수익 창출이 목표 • CPU를많이 팔기 위해서는 PC가 많이 팔려야  PC가 많이 팔릴려면 값이 싸야  PC가 많이 팔리면 CUP가 … • PC가 비싼 이유 • 적게 팔린다  표준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 달성 • 표준화 전략 • 마더보드 표준화, 로컬버스, 시스템버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하드디스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메모리 인터페이스 등 주변 표준을 정리함으로써 자신의 이득을 달성한다.

  6. * 표준화는 전략이다 • 표준화는 기술이 아닙니다. 표준화는 전략입니다. • 기술은 꼭 필요하다. 그러나 충분 조건은 아니다. • 표준화를 위해서 필요한 것 • 전체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안목 : 특히, 융합형 표준 • - Smart Grid, Smart City, Smart TV, Smart Work … • 미래 기술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평가, 예측 능력 • 협상 능력, 경영마인드, 심리학, 사회학, 심미안, 독심술,… • 비전, 적극성, 애국심, … • 영어 말하기, 듣기, 쓰기 … 표준화는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이 어우러진 전략이다.

  7. 목 차 * 표준화는 전략이다 • Ⅰ • 표준이란? Ⅱ 국제, 국내 표준화 동향 Ⅲ ETRI 표준화 현황 Ⅳ 표준화 전략 Ⅴ 결론

  8. • 표준이란 ? 표준이란무엇인가 표준의 명칭 WTO와 표준화 표준화와 환경 변화 표준화 관련 사회적 이론

  9. Standard Stand Hard 라는 말에서 유래 전쟁터에서 지휘관들이 명렬을 내리는 신호 깃발을 세우는 집결지 Standard: “기성의 권위에 의해서 수립된 규칙” 이나 “일반적 동의를 통해서 비교의 근거로 간주되는 것” 표준(標準) 標(표할 표): 높이 내건 안표(眼標) 準(평평할 준): “수면의 평균”, “수평을 재는 기구” 표준: “사물의 정도나 성격 따위를 알기 위한 근거나 기준” 또는 “일반적이거나 평균적인 것” Ⅰ 표준이란 무엇인가

  10. 사전적 의미 판단의 기준이 되는 일정한 약속으로 타의 규범이 되는 규칙, 또는 기준 협의적 의미 서로 다른 지역간 기종간의 의사소통 방법과 절차 등에 대한 주체간의 합의된 규약 특히 IT 제품간 상호운용성의 극대화를 목적으로 정하는 규약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부름 Protocol은 외교상 의전절차에서 유래 Ⅰ 표준이란 무엇인가

  11. 표준(Standard) ISO 9000, ISO/IEC 14498 (MPEG-4) 권고(Recommendation) ITU-T Recommendation H.323 (인터넷전화) 규격(Specification) 프로화일(Profile) IMTC IP Telephony Terminal Profile RFC(Request For Comment) IETF RFC 2460 (IPv6 Specification) 합의(Agreement) Implementer’s Agreement Ⅰ 표준의 명칭

  12. 세계무역기구(WTO) 체제 출범과 함께 세계가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되면서 국제 표준의 중요성이 강조 표준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제품이 세계 교역량의 80%를 차지(OECD 보고서, 1999) WTO의 기술장벽협정(TBT: Technical Barrier to Trade)은 각국이 국제표준을 의무적으로 수용할 것을 요구 TBT의 취지: 각 국가별 표준이 글로벌마켓 형성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국제표준을 수용하도록 함 공적표준 중심에서 시장 원리에 따른 사실표준 중심으로 변화 ISO, IEC, ITU 등의 공식, 국가 표준 중심 체제에서 포럼, 컨소시엄 등 이해 당사자들이 모여 제정하는 사실표준 중심으로 기술 표준화의 축(중요성)이 변화 IETF : TCP/IP 통신 프로토콜 표준화 W3C : 웹기반 표준화 (HTML5) Ⅰ WTO와 표준화

  13. 신 표준경제로의 전환 디지털 사회로의 변화와 함께 표준과 마켓이 필수적인 관계를 갖게 됨 연구개발, 생산, 판매 등의 기업 활동이 표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짐 표준 전쟁(표준 경쟁)의 시대 표준이 곧 산업 경쟁력을 좌우 표준이 세계 시장의 우위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인식됨 표준 선점은 선택사항이 아닌 기업의 생존의 문제 기업간 국가간의 치열한 표준경쟁은 총성 없는 전쟁 Ⅰ 표준화와 환경 변화

  14. 표준화와 관계된 사회적 이론 (1) • 수확체증의 법칙 • 일단 시장에서 성공한 제품이나 기업은 계속해서 잘나가고, 한번 실패한기업은 계속해서 어렵다 • 수익보다 시장 점유율이 더 중요하다: 이에 따라 부익부 빈익빈 • 소프트웨어 개발의 경우, 초기 비용은 크나 추가 생산에 대한 비용 “0” • 네트워크 외부성 • 직접적 네트워크 외부성: 네트워크 사용자간 직접적 연결과 커뮤니케이션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효과로, 전화, 팩스, 이메일과 같이 물리적 네트워크에서 가입자가 많아질수록 개별 가입자가 얻을 수 있는 효용 증대 • 소비자들이 한 네트워크 시장 점유율이 다른 네트워크의 점유율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하면그 네트워크에 가입하려고 하고, 그 결과 그 네트워크가 시장 지배적 지위를 누리게 됨

  15. 표준화와 관계된 사회적 이론 (2) • 전환비용의 고착화 • 디지털 경제에서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전환 비용과 기술적 고착화 문제는 중요한 전략적 고려사항임 • 시장이 이미 하나의 기술에 고착화되었다면 소비자들의 높은 전환비용 때문에 새로운 기술이 기술적으로 우월하더라도 시장에서 성공하기 어렵다 • 선발자의 이익 • 수요의 임계량이 넘어서면 선순환 효과로 특정 네트워크에 몰리는 쏠림(tipping) 현상이 나타남 • 포지티브 피드백이 강하게 작용하는 시장에서는 2등은 무의미 정부의 역할? 조정자의 역할?

  16. 표준이 된다는 의미 • ‘게임의 규칙’으로서의 표준 • ‘시장지배자’로서의 표준 • ‘시장 확대 도구’로서의 표준 • ‘네트워크 효과’로서의 표준 • ‘기술 융•복합화의 윤활유’로서의 표준 출처: 강병구, 표준이 시장을 지배한다. 삼성경제연구소, 2009

  17. 표준화에도 전략이 필요하다 • 표준화의 전략적 목적 • 시장을 확대만 하면 되나? • 주도하는 자가 성공하나? • 경쟁표준은 무조건 꺾는 게 최선인가? 출처: 강병구, 표준이 시장을 지배한다. 삼성경제연구소, 2009

  18. 표준전쟁에서 이기기 위한 5가지 전략 • 여럿이서 힘 합치기 • 숨어서 표준 영역 확대하기 • 움직이는 과녁 되기 • 인터페이스 표준을 활용해 독자기술 살리기 • 부품에 의한 플랫폼 구축하기 출처: 강병구, 표준이 시장을 지배한다. 삼성경제연구소, 2009

  19. • 국제, 국내 표준화 동향 공적표준과 사실적 표준 국제표준화기구 우리나라의 표준화 추진 체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IT표준화포럼

  20. 공적 표준과 사실적 표준 출처: 표준화 결정요인 분석과 표준획득 전략 (2003), 박정수 외,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21. 공적 국제 표준기구 ISO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SO/IEC JTC 1 (Joint Technical Committee 1)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ITU-T (Telecommunications)- ITU-R (Radio) 공적 지역/국가 표준기구 T1 Committee ETSI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BSI (British Standards Institute) TTA(Korea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Ⅱ 공적 표준화기구

  22. ITU

  23. 국제표준화기구: ITU-T http://www.itu.int/

  24. WCIT World Conferences on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국제표준화기구: ITU-T Plenipotentiary Conference ITU Council General Secretariat ITU-R ITU-D ITU-T Telecommunication Development Sector Radiocommunication Sector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25. 국제표준화기구: ITU-T WORLD TELECOMMUNICATION WTSA STANDARDIZATION ASSEMBLY TELECOMMUNICATION TELECOMMUNICATION TSAG TSB STANDARDIZATION STANDARDIZATION ADVISORY GROUP Bureau SG STUDY GROUP STUDY GROUP STUDY GROUP WORKING WORKING WORKING PARTY WP PARTY PARTY Q Q Q Q Q : Question = RG : Rapporteur Group

  26. 한국의 ITU 멤버십 192 Member States, 539 Sector Members, 159 Associates, 17 Academia SIO: Scientific or Industrial Organization ROA: Regional Operating Agencies Other Entity: Other entities dealing with telecommunications matters

  27. ITU-T Study Groups • SG2 Operational aspects of service provision and telecommunications management • SG3 Tariff and accounting principles including related telecommunication economic and policy issues • SG5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 SG9Television and sound transmission and integrated broadband cable networks • SG11Signalling requirements, protocols and test specifications • SG12Performance, QoS and QoE • SG13Future networks including mobile and NGN • SG15Optical transport networks and access network infrastructure • SG16Multimedia coding, systems and applications • SG17 Security

  28. ITU-T JCA • Joint Coordination Activity • JCA-IoT (Internet of Things) • JCA-ICT&CC (ICT and Climate Change) • JCA-Mgt (Management) • JCA-AHF (Accessibility and Human Factor) • JCA-IdM (Identity Management) • JCA-IPTV • JCA-CIT (Conformance and Interoperability Testing) • JCA-HN (Home Networking) • JCA-NGN (Next Generation Network) • JCA-NID (Network Aspects of Identification Systems (including RFID)

  29. ITU-T Focus Group • Focus Group • Focus Groups are an instrument created by ITU-T that augment the Study Group work programme by providing an alternative working environment for the quick development of specifications in their chosen areas. Focus Groups are now widely used to address industry needs as they emerge, and when they are not covered within an existing Study Group. The key difference between Study Groups and Focus Groups is the freedom that they have to organize and finance themselves. financing, and types of deliverables. • FG AVA (Audiovisual Media Accessibility) • FG Distraction (Driver Distraction) • FG Smart (Smart Grid) • FG Cloud (Cloud Computing) • FGCarCOM (Car Communication)

  30. ITU-T GSI • Global Standard Initiative • A Global Standards Initiative (GSI) is a package of work to be conducted through co-located meetings of the involved study groups and rapporteur groups under the umbrella of a coordinated work plan in order to expedite the work in response to market need and to achieve a visible focus for the work. • IoT-GSI • IPTV-GSI • NGN-GSI • IdM-GSI

  31. ISO

  32. ISO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 the world's largest developer and publisher of International Standards. ISO is a network of the national standards institutes of 162 countries, one member per country, with a Central Secretariat in Geneva, Switzerland, that coordinates the system. ISO is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that forms a bridge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On the one hand, many of its member institutes are part of the governmental structure of their countries, or are mandated by their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other members have their roots uniquely in the private sector, having been set up by national partnerships of industry associations. Therefore, ISO enables a consensus to be reached on solutions that meet both the requirements of business and the broader needs of society.

  33. Technical committees 국제표준화기구: ISO 구조 GENERAL ASSEMBLY: • Delegates of: • Member Bodies • Correspondent Members • Subscriber Members Policy Development Committees: • CASCO • COPOLCO • DEVCO • INFCO Council standing committees: • Finance • Strategies COUNCIL TECHNICAL MANAGEMENT BOARD REMCO Ad hoc Advisory Groups CENTRAL SECRETARIAT Technical advisory groups sgkang-33

  34. 국제표준화기구: ISO/IEC JTC1 •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TC37 Terminology and language and content resources • TC46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C68 Financial services • TC130 Graphic technology • TC154 Processes, data elements and documents in commerce, industry and administration • TC171 Document management applications • TC184  Automation Systems and Integration • TC204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TC211 Geographic information / Geomatics • TC215 Health informatics

  35. ISO 참여 현황

  36. ISO 작업 현황

  37. ISO 조직 현황

  38. JTC1

  39. 국제표준화기구: ISO/IEC JTC1 • Created by ISO and IEC in 1987 • Merging ISO/TC97(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EC/TC83(Information Equipment) • Joint Technical Committee One • JTC 1 Scope • Standardization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 IT (Information Technology) • systems and tools dealing with the capture, representation, processing, security, transfer, interchange, presentation, management, organization, storage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 ISO/IEC Directives • Procedures for the technical work of ISO/IEC JTC 1 on Information Technology (5th Edition)

  40. 국제표준화기구: ISO/IEC JTC1 ISO/IEC JTC1 Special Group SWG for Technology Watch Implementing IT RG SubCommittee (SC) SubCommittee (SC) SubCommittee (SC) sgkang-40

  41. 국제표준화기구: ISO/IEC JTC1 • JTC 1 - Information technology ( P-Member ) • JTC 1/SC 2 - Coded character sets ( P-Member ) • JTC 1/SC 6 -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Secretariat ) • JTC 1/SC 7 - Software and systems engineering ( P-Member ) • JTC 1/SC 17 - Cards and personal identification ( P-Member ) • JTC 1/SC 22 - Programming languages, their environments and system software interfaces ( P-Member ) • JTC 1/SC 23 - Digitally Recorded Media for Information Interchange and Storage ( P-Member ) • JTC 1/SC 24 - Computer graphics, image processing and environmental data representation ( P-Member ) • JTC 1/SC 25 - Interconnec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equipment ( P-Member ) • JTC 1/SC 27 - IT Security techniques ( P-Member ) • JTC 1/SC 28 - Office equipment ( P-Member ) • JTC 1/SC 29 - Coding of audio, picture,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 P-Member ) • JTC 1/SC 31 -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techniques ( P-Member ) • JTC 1/SC 32 - Data management and interchange ( P-Member ) • JTC 1/SC 34 - Document description and processing languages ( P-Member ) • JTC 1/SC 35 - User interfaces ( P-Member ) • JTC 1/SC 36 - Information technology for learning, education and training ( Secretariat ) • JTC 1/SC 37 - Biometrics ( P-Member ) • JTC 1/SC 38 - Distributed application platforms and services (DAPS) ( P-Member )

  42. Regional Organization

  43. EU 표준화 추진 체계 • ETSI, CEN, CENELEC는 상호 협력 하에 유럽연합의 표준인 EN(European Norm) 개발 • CEN • 산업 분야 EN 제정  ISO 대응 표준화 활동 • CENELEC • 전기 분야 EN 제정  IEC 대응 표준화 활동 • ETSI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 정보통신 분야 EN 제정  ITU 대응 표준화 활동 • Created in 1988, more than 13,200 publications (in 2006) • 678 Members in Worldwide (in 2006) • ETSI Standards(ESs), Guides(EGs) • Approved by the full ETSI Membership • ETSI Technical Specifications(TSs), Technical Reports(TRs) • Approved by the TC or Project concerned sgkang-43

  44. 미국표준화 추진 체계 • 국무부 산하 ITAC(Int’l Telecom. Advisory Committee) • ITU의 각 부문별 위원회를 구성, 운영하여 ITU 활동 총괄 • ITAC-T, ITAC-R, ITAC-D •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 미국의 Voluntary Consensus Standard를 관리, 조정하고 미국 국가표준으로의 승인여부를 결정하는 민간단체(1918년 설립) • Accredited Standards Developers를 승인, 관리 • ATIS, TIA, IEEE, etc. • ISO, IEC 대응 표준화 활동 • ATIS (Alliance for Telecom. Industry Solutions) • 1984년 설립되었던 T1이 폐지(‘04.3)되고 T1 활동 승계 • ITU에 대응하는 실질적 표준제정 활동은 ATIS가 주도 • TIA (Telecom. Industry Association) • 3GPP2 Member로 이동통신 분야 표준화 활동에 주력

  45. 아태지역표준화 추진 체계 • APT (Asia-Pacific Telecommunity) • 아태지역 국가 전기통신 협력을 위해 1979년 설립 • APT SGs (Study Groups) • 3년 단위 회기로 운영 • ASTAP (APT Standardization Program) • 1998.2 설립 • 표준화에 관한 아태지역 협력활동 강화 • 아태지역의 상,하향식 표준화 활동의 조화로운 추진 • 회원국간에 표준화에 대한 전문성 제고 • 표준협력 활동을 통한 국제표준화 활동에서의 지역입지 강화 • EGs (Expert Groups)

  46. 일본표준화 추진 체계 • 총무성 산하 정보통신심의회 • ITU 대응 활동 총괄 • TTC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Committee) • ITU-T 대응 활동 • ARIB (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 • ITU-R 대응 활동 • 경제산업성 산하 일본공업표준조사회 (JISC) • ISO, IEC, JTC1 대응 활동 총괄 • JISC : 정보기술을 포함한 산업 분야의 일본산업표준(JIS) 제정 기관

  47. 우리나라

  48. 우리나라의표준화 추진 체계(1/2) • 산업자원부 (MOCIE)  지식경제부(MKE)로 재편 • 산업표준화 정책 총괄 일부 정보통신 표준화 정책 포함 • 기술표준원 • 정통부가 방통위로 재편됨에 따라 표준화 추진 총괄기관 위상 • 산업표준심의회 운영 • 한국산업표준(KS) 제정 • 정보산업 부문 : X-계열 • 전기 부문 : C-계열 • 산업표준심의회 산하에 부회 구성 • 각 부회 산하에 전문위원회 구성 • ISO TC, JTC1/SC 등의 활동에 대응하는 국내 위원회 • 한국표준협회(KSA: Korea Standards Association) • 한국산업표준 출판, 보급 • 산업표준심의회 관련 활동 간사 기관 역할 수행

  49. 우리나라의표준화 추진 체계(2/2) • 정보통신부(MIC)  방송통신위원회(KCC)로 재편 • 방송통신 분야 표준화 정책 추진 • 표준 정책총괄은 지경부/기표원이 담당 • 전파연구소(RRL) • 방통위로 부터 권한 위임 (기술기준 및 국가표준 제정업무 담당) • 한국정보통신표준(KICS) 심의회 운영 (사무국) • “한국 ITU 위원회” 구성, 운영 – ITU 활동 창구역할 수행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 정보통신 단체표준 제정 • 표준총회, 운영위원회, 기술위원회, Project Group, etc. • IT 표준화 전략 포럼 • 민간 중심의 사실표준화 활동 강화를 목적으로 정보통신부/산업자원부가 전략포럼 활동을 지원, 육성 (약 50여개 포럼이 활동 중)

  50.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 • 설립목적 • 협회는 (1) 통신사업자, 산업체, 학계, 연구기관 및 단체 등의 상호협력과 유대를 강화하고, (2) 국내외 정보통신분야의 최신 기술 및 표준에 관한 각종 정보를 수집/조사/연구하여, (3) 이를 보급/활용하게 하며 (4) 정보통신관련 표준화에 관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정보통신 산업 및 기술진흥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기여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