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3

KLIS 의 이해 (Understanding KLIS)

KLIS 의 이해 (Understanding KLIS). Presented By Soon-tae Kim. 목 차. 지적전산화 추진경위 KLIS 추진경위 사용자 입장에서 PBLIS 와 KLIS 의 차이점 GIS TOOL 과 KLIS Configuration (HW, SW) 을 통한 업무 흐름도 KLIS 시스템의 문제점 KLIS 의 향후 발전 모델. 1. 지적전산화 추진경위. 1. 지적 전산화 추진현황(1).

kellsie
Download Presentation

KLIS 의 이해 (Understanding KLIS)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KLIS의 이해 (Understanding KLIS) Presented By Soon-tae Kim

  2. 목 차 • 지적전산화 추진경위 • KLIS 추진경위 • 사용자 입장에서 PBLIS와 KLIS의 차이점 • GIS TOOL과 KLIS • Configuration (HW, SW)을 통한 업무 흐름도 • KLIS 시스템의 문제점 • KLIS의 향후 발전 모델

  3. 1. 지적전산화 추진경위 1

  4. 지적전산화 추진현황(1) • 전산화 준비 : 법령정비(지적법 전문개정) 및 서식표준화(Standardization) : 1975 • - 면적단위를 미터법으로 환산 통일, 업무처리내용 분류를 통한 코드화, 등록번호 일제조사 등 실시 • 토지ㆍ임야대장 전산화 완료 : ’80 ~ ’90 • - 토지기록전산화의 국가주요 정책과제 채택(’80.12.11) • - 토지기록전산화 기본계획 수립(’82.12.17:전두환대통령 재가) • 1단계 (’82~’84)로 토지/임야대장 전산입력한 후, 2단계(’84~’86)로 시군구간 온라인화 작업을 • 수행코자 하였으나 2단계 작업이 국가기간전산망 행정전산망 우선추진사업으로 선정됨에 따라 • 2년간 delay (delay 기간동안 원시자료의 정비, 비법인 등록번호의 제정 등 수행) •  중앙 및 시도에 설치된 주전산기에서 월단위의 Batch처리 ☞ 변동자료처리에 장시간 소요 • ☞ 온라인(네트워크 포함)시스템 개발 필요성 대두(+부동산 투기 붐 등 사회적 병리현상 억제) • - 지적전산온라인 시스템 개발 : ’86 ~ ’89(사용자교육 병행) • - 지적전산 온라인 서비스 개시 : ’90. 4. 1 • - 전국온라인(지역무관서비스)실시 : ’91. 2. 1 2

  5. 지적전산화 추진현황(2) •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 ( PBLIS ) 구축방안 연구 : ’91 ~ ’95 • - 실험사업 (경남 창원시) • 지적도면전산화 시범사업 : ’96 ~ ’97 • - 대전광역시 유성구 •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 (PBLIS )개발 : ’96. 8. ~ ’00. 11 • - 발주처 : 대한지적공사 • - 수행자 : 쌍용정보통신(주) •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 (PBLIS ) 시군구 확산 완료 : ‘02. 12

  6. 2. KLIS 추진경위

  7. KLIS 추진경위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과 토지관리정보체계를 통합하도록 감사원 권고 • 국무조정실 주재 관계기관 회의 개최 : ’01. 5. 18 • 시스템 통합 권고 안 및 통합구축 방안 마련 : ’01. 12 • 통합시스템 구축을 위한 공동작업반 구성운영 : ’02. 2 ~ 4 • 한국토지정보시스템 개발 세부계획 확정 : ’02. 5. 30 • 한국전산원 원가계산 용역 : ’02. 6. 25 ~ 8. 1 • 한국토지정보시스템 개발 협약서 작성 : ’03. 3. 7 • 개발사업자선정 ( 쌍용정보. 삼성SDS, SK C&C ) : ’03. 5. 23 • 한국토지정보시스템 개발 용역계약 체결 : ’03. 6. 13 3

  8. KLIS 구축 내용 • 한국토지정보시스템 착수보고 (’03.7.8) • KLIS사업단 구성 (시도,시군구 공무원 30명, 10개월 분산지원) • 현시스템 분석 및 업무분석 • 개발업무 확정 워크샵 실시 (’03,9.26~27) 개발착수 및 업무분석 • 시스템 설계(’03.10~’04.2) • 중간감리 실시(’03.11) • 관계기관 개발업무 협의 시스템 설계 • 구현 및 단위시험(’03.12~’04.4) • 지적공부관리시스템, 측량성과작성시스템, 토지민원발급시스템 • 미들웨어 개발, 연속편집도관리시스템, DB변환관리시스템, LMIS기타부문 • 도로명 및 건물번호관리시스템, 시군구행정정보시스템 연계 시스템 개발 • 통합시험 환경구축 및 통합시험 실시 (’04,5~7 • 다양한 서버환경 테스트 (주전산기, IBM, HP, SUN, NT) • GIS엔진별 미들웨어 테스트 (SDE, Gothic, ZEUS) 통합시험 • 시스템안정화 (’04.09~11) • 시험운영 (’04.12~ ’05.2) 시험운영 5

  9. 토지/임야 속성DB 재세정 속성DB 주민DB 지적측량 속성DB 지적측량 공간DB KLIS 공간DB KLIS 속성DB 지적측량성과 작성시스템 KLIS DB 토지민원 발급시스템 DB관리시스템 지적공부 관리시스템 토지행정 시스템 토지정책 지원시스템 연속/편집도 관리시스템 토지관리 지원시스템 지적측량시스템 KLIS 구축 내용 재개발 건설교통부 시 군 구 토지정책 DB • 토지민원발급시스템 • 연속/편집도면관리시스템 • 지적공부관리시스템 • 지적측량성과작성시스템 • DB변환관리시스템 시군구 행정종합 DB KLIS 미들웨어 미들웨어연계 엔테라 미들웨어 시도 신규개발 토지정책 DB 새주소관리시스템 • KLIS 미들웨어(GOTHIC용) • 도로명/건물번호관리시스템 용도지역지구도 관리시스템 보완개발 지 적 공 사 • 엔테라 미들웨어 (시군구행정시스템 연계용 RPC모듈) KLIS 사업범위 출 장 소 지적측량 시스템 지적측량성과작성시스템 4

  10. 한국토지정보 시스템 (KLIS) 네트워크 WebServer 인터넷 지적측량 대행업체와 연계 추진 정보이용승인신청서제출 측량준비파일전송 측량성과검사파일제출 대행법인 Outgoing방식 정보사용승인신청서제출 측량준비파일전송 측량성과검사파일제출 지적공부관리시스템 ☞ 각 지사별 middle ware 구입부담 해소와 지적정보의 보안관리를 위해 Web Sever system 구축

  11. 3. 사용자입장에서 PBLIS와 KLIS의 차이점 6

  12. 개선사항 및 기대효과 • 시스템 통합을 통한 업무 효율성 증대 • 업무 처리절차 간소화를 통한 사용자 편의성 제고 • 지적도 DB의 통합관리로 데이터의 일관성 및 무결성 확보(속성 및 도형자료의 동시처리, 지적도/연속도/편집도의 연계) • 전국 온라인 민원발급의 효율적인 처리 • 도형 및 속성정보의 공유 및 전산자원의 공동활용을 통한 중복투자 방지 7 7

  13. 기존 시스템 개선된 KLIS 시스템 시스템 통합 APP통합 지적도 DB 시군구행정 종합시스템 지적도 DB DB 통합 PBLIS LMIS PBLIS LMIS 통합 시군구 접속 접속 접속 SSO(Single Sign On) 사용자 사용자 • DB 통합, Application 통합, 시스템의 통합을 통해 사용자 단일 접속통로 제공 • –동일한 업무는 동일한 시스템에서 처리 • 접속절차의 단일화 및 통합 접속화면 제공 •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검색 불필요 • 각 시스템별 개별 지적도 DB 보유 • –데이터의 중복 및 무결성 저해 • 토지이동관리업무 등 유사 업무를 2개 이상의 시스템에서 중복 처리 • –사용자의 업무처리 혼란 초래 개선사항 –시스템 통합 8

  14. 통합전의 토지이동 프로세스 시군구 연계 시군구 / 개별지적 비연계 시군구 지적행정 PBLIS 지적공부관리 LMIS 공간자료관리 시군구 DB PBLIS 도형DB LMIS 도형DB LMIS 속성DB 통합된 토지이동 프로세스 • 개별지적도정리 • 연속/편집도 정리 개별지적도정리 접수/대장정리 시군구 DB와 연계 안됨 시군구 DB 연계 됨 -> 토지이동 정보 시군구 DB KLIS 도형DB 2. 토지이동 정리 3. 연속/편집도 정리 측량수반 업무시 낱장지적도와 연속도가 상이한 형태의 필지처리 1. 토지이동 접수 3. 연속/편집도 정리 업무흐름 개선 측량 데이터 • 측량미수반업무 • 낱장지적도와 연속도가 동일한 형태 KLIS 지적공부관리 KLIS 연속/편집도면관리 개선사항 - 토지이동 업무 프로세스 통합 9

  15. 원격지 민원 요청 원격지 민원 정보 개선사항 –민원발급업무 A 시군구 KLIS시스템 B 시군구 KLIS시스템 시군구 민원실 민원신청 민원요청 GIS Engine GIS Engine 공간 미들 웨어 공간 미들 웨어 초고속 국가망 KLIS DB KLIS DB 민원발급 민원정보 읍,면,동 사무소 민원인 원격지 민원 처리 무인민원자동발급기 10

  16. 기대효과 • 개별/연속/편집 지적도의 일관성 및 무결성 확보 • 정보공유 및 공동활용 지적정보(DB) 연계/통합 응용시스템 통합 3-Tier 아키텍쳐 • 중복업무 탈피 • 사용자 업무 능률성 향상 • 전산자원 공동활용 • 전국 온라인 민원발급 서비스 • OGIS적용에 의한 시스템 확장성 향상 • 분산환경에서의 공간정보유통 용이 11

  17. 4. GIS TOOL과 KLIS 12

  18. Spatial Query DataBase MAP Control Topology EQUAL ZOOM IN/OUT ANSI SQL BUFFER PANNING FIND ALONG RDBMS 환경 CROSSING CREATE/UPDATE OVERLAPPING MEASURE CONVEX HULL GIS Tool의 기능 • 프로그램의 메뉴구성, 버튼구성, 화면배치 등 변경 • Client별 작업환경 저장 사용자 Customizing TOOL제공 • 표준심볼 및 사용자 정의 심볼 등 변경 • 데이터스키마 관리 및 변경 기능 관리자 Customizing TOOL제공 • Component형태의 API제공 • 상용 개발 언어 사용 개발자 Customizing TOOL제공 13

  19. KLIS의 관련 GIS 툴 비교 14

  20. Why KLIS? 15

  21. 5. Configuration (HW, SW)을 통한 업무흐름도 16

  22. 시군구 주전산기 • 시군구 주전산기는 1단계 서버와 2단계 서버로 구성되며 KLIS는 1단계 서버의 지적행정 DB와 서버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료를 조회 및 수정하며 권한관리를 위하여 공통과 민원발급을 위한 민원행정도 참조한다. • 2. KLIS서버 • 시군구 주전산기 2단계 서버에 KLIS를 탑재하는 경우로 기존에 구성된 건축행정 DB에 KLIS DB를 구성하게 되며 GIS엔진 및 서버 프로그램을 새로 설치하고 기존의 PBLIS와 LMIS자료를 KLIS로 전환하여 운영. 지방행정정보망 하드웨어 구성 시군구주전산기 활용 시군구 유지보수센터 시군구 1단계 서버 시군구 2단계 서버 (KLIS 서버) 배포서버 CSU 라우터 플로터 CSU 읍면동사무소 라우터 지적공부 프린터 측량성과 작성 연속편집도 지적행정 민원발급 프린터 토지행정 디지타이저 도로명 KLIS 클라이언트 용도지역지구 • 시군구 1단계 서버의 지적행정사용 • 시군구 2단계 서버에 KLIS 속성 및 도형DB구성 17

  23. 시군구 주전산기 • 시군구 주전산기는 1단계 서버와 2단계 서버로 구성되며 KLIS는 1단계 서버의 지적행정의 DB와 서버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료를 조회 및 수정하며 권한관리를 위하여 공통과 민원발급을 위한 민원행정도 참조한다. • 2. KLIS서버 • 기존의 LMIS서버를 KLIS로 전환하는 경우로 기존에 확보되어진 GIS엔진 및 S/W를 사용하게 되며 DB와 서버프로그램을 KLIS구성에 맞게 변환하며 PBLIS자료를 KLIS로 전환하여 사용 지방행정정보망 하드웨어 구성 LMIS서버 활용 시군구 유지보수센터 시군구 1단계 서버 LMIS서버 (KLIS서버) 배포서버 CSU 라우터 플로터 CSU 라우터 읍면동사무소 지적공부 프린터 측량성과 작성 연속편집도 토지행정 지적행정 민원발급 프린터 디지타이저 도로명 KLIS 클라이언트 용도지역지구 • 시군구 주전산기 : 시군구 1단계 서버의 지적행정사용 • KLIS 서버 : 기존 LMIS H/W및 S/W사용, KLIS구성으로 전환 18

  24. 소프트웨어 구성 시군구 주전산기 활용 • 건축행정 DB에 KLIS DB를 구성 • GIS엔진 및 서버 프로그램을 신규설치 • 기존의 PBLIS와 LMIS자료를 KLIS로 전환 시군구 주전산기 지적행정,민원,공통 공간, 속성 DB Oracle 8.0.6 Uni SQL Gothic DB SQL * Net Zeus Gothic 엔테라5.1 웹서버 Visibroker Unixware 7.1.1 TCP/IP TCP/IP TCP/IP TCP/IP TCP/IP TCP/IP OS(운영체제) OS(운영체제) OS(운영체제) OS(운영체제) OS(운영체제) 엔테라 (Stub) 코바(dll) ODBC 코바(dll) 코바(dll) 코바(dll) 코바(dll) MapOCX MapOCX MapOCX Java(Applet/Servlet) VC++(OCX) VC++(MFC) VB VB Web Browser AutoCAD 지적공부 토지행정 새주소 통합민원 연속편집도 지적측량성과작성 19

  25. TCP/IP OS(운영체제) 코바(dll) Java(Applet/Servlet) Web Browser 통합민원 소프트웨어 구성 LMIS서버 활용 • GIS엔진 및 S/W를 재사용 • DB와 서버프로그램을 KLIS구성에 맞게 전환 • PBLIS자료를 KLIS로 전환 시군구 주전산기 KLIS 서버 지적행정, 민원행정, 공통 공간, 속성 DB Oracle 8.0.6 Gothic DB Oracle 8i or 9i Uni SQL SQL * Net Gothic Web Server SDE Zeus 엔테라 5.1 Visibroker Unixware 7.1.1 HP-UX, Solaris, AIX, NT TCP/IP TCP/IP TCP/IP TCP/IP TCP/IP TCP/IP OS(운영체제) OS(운영체제) OS(운영체제) OS(운영체제) 엔테라 (Stub) 코바(dll) ODBC 코바(dll) 코바(dll) 코바(dll) MapOCX MapOCX MapOCX VC++(OCX) VC++(MFC) VB VB AutoCAD 지적공부 토지행정 새주소 연속편집도 지적측량성과작성 20

  26. 전자정부서비스와 지적 정보의 제공단계 정보통신산업의 Mega Trend 정보의 이용단계 전산화된 정보이용 (Computerization) Internet G4C 사업 Portal Clearinghouse NGIS의 지리정보통합서비스 EAI 정보화된 정보이용 (Informatization) DW (Data Warehouse) 부동산정보관리센터(1~2단계사업) 계획중 SDW (Spatial DW) KLIS 고도화 2단계 사업 부동산정보관리센터 3단계사업 Digital Convergence R&D 사업중 지형지물식별자(UFID) 활용 Web Services RFID/UFID Broad Band IT Korea 실현단계 Ubiquitous 지적정보화와 IT산업의 메가 트랜드 * 이 도표는 필자의 사견이므로 견해가 다를 수 있음

  27. 6. KLIS 시스템의 문제점 21

  28. KLIS서버가 시군구 주전산기와 LMIS서버 중 하나를 사용하므로 DBMS, GIS엔진, 미들웨어의 다양한 제품 및 버전 존재 • KLIS 아키텍쳐가 시군구 지적행정과 KLIS의 공간, 속성정보로 분리되어 일관된 트랜잭션 처리 및 Performance향상 곤란 • KLIS의 서버모듈이 시군구 주전산기와 KLIS서버에 이원화하여 탑재되므로 단일화된 배포 및 유지보수 불가능 • 기존 LMIS 아키텍쳐의 수용으로 서버, DBMS, GIS엔진의 제품 및 버전의 다양함으로 표준화된 유지관리가 곤란 Architecture 문제점 22

  29. 대장은 시군구 주전산기에 도면은 KLIS서버에 존재하므로 단일 트랜잭션 처리가 불가능하므로 자료 불일치 가능성 있음 • KLIS의 구성에서 대장관련 자료인 지적행정이 시군구에 분리되어 있으므로 단일화된 유지보수 관리가 곤란함 • 향후 자료의 일관성 유지와 유지보수의 단일화를 위하여 지적행정자료와 공간자료의 통합이 요구됨 대장과 도면분리의 문제점 23

  30. PBLIS DB의 문제점 지적도면 전산자료의 문제점 약 100년동안 사용하던 종이 지적도를 현지측량이나 보정없이 스캐닝 또는 디지타이징 방법에 의해 전산화(F1 F2  Gothic DB화)하므로서 아래의 문제점 상존 약 100년동안 사용하던 종이 지적도를 현지측량이나 보정없이 스캐닝 또는 디지타이징 방법에 의해 전산화(F1 F2  Gothic DB화)하므로서 아래의 문제점 상존 • DB구축과정의 누락사항 • 구축기간중 발생된 변동사항/ 예전 이동사항 미정리분 • 두 도곽이상에 걸쳐 있는 확인되지 않은 필지 • 일부 지자체의 법정동/읍면 경계 누락 + 전산화 이전에 갖고 있던 문제점 전부 내포 • DB구축과정의 누락사항 • 구축기간중 발생된 변동사항/ 예전 이동사항 미정리분 • 두 도곽이상에 걸쳐 있는 확인되지 않은 필지 • 일부 지자체의 법정동/읍면 경계 누락 + 전산화 이전에 갖고 있던 문제점 전부 내포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오류/육안식별 불가능 오류 자료정비 프로그램 작성 : 식별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식별불가능한 오류를 자동으로 검색.수정 1)변동자료 누락 2) 지번중복 3) 필지 누락 4)필지 중복등록 5)도형속성과 필지속성의 불일치6) 경계점좌표등록부 지역의 미세폴리곤 문제 등

  31. 기타 업무와 연계 업무연계를 위한 방법 부동산실거래센터: 보안상 문제로 DLL 방식 채택 24

  32. 7. KLIS의 향후 발전모델 (To-Be Model) 25

  33. 지적정보의 활용실태 지적정보, 국가토지행정의 근간 • 중앙정부 각 부서간 토지행정 업무의 기초자료로 활용 • 행자부, 건교부, 해수부, 환경부, 문광부, 농림부, 산림청 중앙부처 • 중앙정부의 각종 계획수립에 따른 시행, 민원접수 및 처리 등 주민과 연결되는 업무 수행에 활용 • 16개 광역시도, 234개 시군구 지자체 • 후보지선정, 개발계획, 실시계획, 사업준공에 이르기까지 토지정보 • 를 활용하여 토지에 대한 개발사업 시행 (주택공사, 토지공사, • 지적공사, 수자원공사, 도로공사, 농어촌진흥공사 ) 공공기관 • 도형과 속성자료 등 토지정보를 활용하려 감정평가, 부동산거래, 공동주택, 측량업무 등에 활용 • 감정평가사, 공인중개사, 주택관리사, 일반측량사 등 민간부문 26

  34. 국외현황 중앙집중형의 정보화 및 관리 추진 • 독립된 5개의 지역정보센터에서 토지정보의 전산처리 시스템을 구축 • 각 지방사무소에 온라인 연결하여 토지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있음 프랑스 • 중앙부동산자료국에서 1차적인 책임을 지고 토지조사국, 사법부와 긴밀한 협조를 통해 토지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있음 스웨덴 27

  35. 향후 계획 추진 단계 1 단 계 (04.12~05.02) 2 단 계 (05.04~06.04) 3 단 계 (07.01~) 단계 목표 시험운영 확산 (설치 및 교육) 한국토지정보시스템 고도화 대상지역 • 대상지역(4개 지자체) –부산 강서구 • –대전 유성구 • –충북 청주시 • –제주 남제주군 • 기존 LMIS 설치지역(163) • LMIS ‘05년 사업지역(87) DB구축 일정 • 자료정비 고려 확산 예정 • 본부(행자부, 건교부) • 광역시도 주요 추진 과제 • 교육 및 설치 • 실 운영환경에서 병행시험 (정확성 및 안정성 검증) • 예외적인 데이터 형태 수용 • 2단계 ISP 수립 • 전국 시군구에 KLIS 시스템 설치(234개 지자체) • 시군구 담당 공무원 대상으로 운영자 교육 및 사용자 교육실시 • 헬프데스크 운영 • 지적도 기반의 정보화 추진 연구 • 공간정보연계 • (시군구-시도-본부) • 정책지원강화 • (SDW구축/통계분석) • 지적정보센터, 역할 강화

  36. 지적정보의 활용 고도화 지적정보 데이터 마트를 구축을 통한 부동산정보 활용 고도화 • 지적정보의 공동활용체계 구축으로 관련기관간 정보의 효율적 이용 • 공공기관, 유관기관(통신, 전력, 가스, 상/하수도 등), 민간기관 등 범국가적인 각종 계획 수립시 자료의 신속한 제공 지적정보 공동활용체계 구축 • 수요기관별/사용목적별 DB구축으로 수요기관에 맞춤형 정보 제공 • Data Mart를 활용한 지적정보(도형+속성)의 고도화된 정책자료 가공, 공동 활용, 정보 유통체계 구축 맞춤형 지적 정보제공체계 구축 • 지적정보(도형+속성) 통합관리를 통한 데이터 표준화, 통합화, 정보 및 장비의 공동 활용 • 지적정보의 통일성 및 행정 서비스의 신속성/정확성 확립 지적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 28

  37. 1단계 (2007년) 3단계 (2009년) 2단계 (2008년) 지적 데이터마트 구축 방안 지적정보 유통체계 구축 지적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 지적정보 공동활용 기반체계 구축 29

  38. 도형 속성 속성 속성 As-Is KLIS 시 군 구 • 데이터 표준화 및 분산형 시스템 운영(자원 및 예산 낭비) • 데이터 비표준화 및 기술중복투자 우려 • 도형과 속성정보를 통합한 정책정보 생성이 불가능함 • 도형정보의 활용 체계 및 통합관리 부재 행자부 시군구 민원실 읍,면,동 사무소 무인민원 자동발급기 민 원 발 급 민 원 요 청 지적 정보센터 속성 정보 시도 KLIS 지적DB 시도지적 시스템 33

  39. 도형 도형 속성 속성 발전모델 : To-Be KLIS(2-1) G2C G2B G2G 민간기관 공기업 일반국민 시도 중앙부처 • 중앙집중형 시스템 • 데이터 표준화 및 기술투자의 일원화 • 도형과 속성정보를 통합한 정책정보 생성 • 도형과 속성정보의 통합하여 단일창구화 관리 • 데이터 마트를 활용한 정보의 공동활용 시 군 구 무인민원 자동발급기 시군구 민원실 읍,면,동 사무소 행자부 민 원 발 급 민 원 요 청 지적 Data Mart 지적정보 통합센터 KLIS 지적자료 통합 지적DB 지적DB + 34

  40. 도형 도형 속성 속성 발전모델 : To-Be KLIS(2-2) : G2C G2B G2G 민간기관 일반국민 시군구 시도 중앙부처 초고속국가망 인터넷 유무선 통합 Intra Web Interface 유무선 통합 Inter Web Interface … 일반국민용 통신기관용 중앙부처용 시도용 시군구용 지적정보 Data Mart 시군구 KLIS 전국자료 통합 지적정보 통합센터 35

  41. G4C 대법원 한국토지정보 시스템 (KLIS) 초 고 속 국 가 통 신 망 초 고 속 국 가 통 신 망 중앙기관 전자정부 홈페이지 사설 인터넷 향후 발전방향 G4C 시스템과의 연계 추진 • 지적 정보공유 • 인터넷 민원접수 Intra Inter • 인터넷 민원접수

  42. 향후 발전방향 기타 시스템과의 연계 추진 기타토지 관련연계 대상시스템 지원방안 • 농지종합정보시스템 • 산림지리정보시스템 • 산업입지정보시스템 • 자연환경GISDB구축사업 • 도로명 및 건물 부여사업 • 한전(선로관리)시스템 • 경찰청시스템 • 기술적검토 • 연계방안 검토 • 사업관리기관과 공조 • 하여 연계추진지원 연계 개념도 농지종합정보시스템 산림지리정보시스템 • 지형도 • 지적도 • 토지이용계획자료 • 지형도 • 지적도 • 토지이용계획자료 한국토지정보시스템 DB • 보전, 준보전임지자료 • 농업진흥지역자료 등 • 편집지적도 • 토지이용계획자료 새주소부여사업 • 지형도 • 지적도 산업입지정보시스템 • 산업단지자료 • 자연환경보전지역 • 생태계보전지역자료 등 • 지형도 • 지적도 • 지형도 • 지적도 • 지형도 • 편집지적도 • 용도지역지구도 한전(선로관리)시스템 경찰청시스템 자연환경 GIS DB

  43. 감사합니다 행정자치부 김순태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