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8

미국 공공도서관사 연구

미국 공공도서관사 연구. 과 목 명 : 도서관사 지도교수 : 방 준 필 2003912001 가 광 순 2003912002 강 강 순 2003912017 안 영 숙. 목 차. 개 요 공공도서관의 의미 공공도서관의 목적 미국 공공도서관의 발전 요인 미국 공공도서관의 발전 과정 미국의 주요 공공도서관 현황 보스톤 공공도서관 뉴욕시 공공도서관 카네기도서관 Library Company of Philadelphia Redwood Library and Athenaeum 보스톤 아세니움

shirina
Download Presentation

미국 공공도서관사 연구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미국 공공도서관사 연구 • 과 목 명 : 도서관사 • 지도교수 : 방 준 필 • 2003912001 가 광 순 • 2003912002 강 강 순 • 2003912017 안 영 숙

  2. 목 차 • 개 요 • 공공도서관의 의미 • 공공도서관의 목적 • 미국 공공도서관의 발전 요인 • 미국 공공도서관의 발전 과정 • 미국의 주요 공공도서관 현황 • 보스톤 공공도서관 • 뉴욕시 공공도서관 • 카네기도서관 • Library Company of Philadelphia • Redwood Library and Athenaeum • 보스톤 아세니움 • 맺 음 말

  3. 개 요 • 사회에서 공공도서관이 출현하게 된 배경을 그 당시의 역사적, 사회적 상황 속에서 살펴보고 발달과정 통해 현재의 공공도서관의 모습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다른 나라의 공공도서관 발달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서로의 공통점도 발견할 수 있고 각 도서관의 독특한 장점을 발견함으로써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수 있을 것이다. • 본 논고에서는 미국의 공공도서관 성립과정과 역사를 고찰하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4. 공공도서관의 의미 , 목적 • 도서관은 처음에는 단순한 뜻으로 도서를 보존하는 장소로만 생각되어 왔다. 이러한 도서관의 의미는 수 천년 전부터 존재해 왔는데, 최근에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정보센터로 정보수요자의 요구사항을 인식하고 정보상품과 정보서비스의 질을 높이여 • 도서관이 존재하는 이유가 정보,문화,교육,레져 등 의 폭넓은 다양한 문화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주민들에게 봉사하는 의미를 갖게되는 공공도서관으로 발전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독서지도진흥법제20조에 의하면 공공도서관은 • 자료의 수집, 정리, 보존, 축적 및 공중에의 이용 • 공중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 • 지방행정 및 산업분야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 • 독서의 생활화를 위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 • 강연회, 감상회, 전시회, 독서회 기타 문화활동 및 평생교육의 주최 또는 장려 • 도서관 업무에 관한 조사, 연구 • 기타 공공도서관으로서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업무를 통해서 도서관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5. 미국 공공도서관의 발전 요인 • 자선사업가의 개인재산 축적과 더불어 사회 전반의 부가 증가하였다. • 19세기 후반에 학문연구 활발 • 뉴잉글랜드 지방의 지역정서(문화적 우월감) • 공교육의 사회적 중요성 인식 • 교육열과 교육제도 발달 • 노동자 의식 향상

  6. 미국공공도서관의 발전과정 미국공공도서관운동의 기원은 영국으로 유럽과 더불어 공공도서관이 발전하는데 이중적 구조로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 직접적으로는 조직형태의 실재적인 유입으로 공공도서관의 발전에 도움을 주었는데, 북클럽, 사회도서관, 대출도서관 등은 모두가 유럽의 모델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간접적으로는 유럽의 위대한 장서와 그 구성이 미국인들의 마음에 문화의 총체로서 도서관의 중요성을 심어 주었던 것이다

  7. 하버드대학도서관 사 설 문 고 • 초기 미국에 건너 온 식민지 정착민중 메사츄세츠에 있는 청교도들은 처음부터 소규모의 사설문고들이 있었고,이 문고들은 보통 개인 소유로서 이웃사람들에게 개방해 주거나 사후 시에 기증함으로써 모든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장서는 대부분이 종교서였고 그외 역사서, 여행기, 정치학, 문학고전류가 있었다. 그리고 New England의 대개의 교회가 1720년 이후에는 대중을 위해서 대규모의 신학서적이 있는 교회문고를 개방하였다 영국의 식민지 시절 하버드대학이 설립되자, 영국태생 하버드가 개인장서를 기증하는데 이것을 근거로 미국 최초의 도서관인 하버드대학도서관 탄생(1638)

  8. 교 구 도 서 관 • 교구도서관의 기본 취지는 평신도들의 독서력 증대와 목사들의 성경연구에 있었고, 청교도들의 교세확장과 복음의 전파를 위해 비롯되었으며, 교구도서관 운동은 공공도서관 운동과 맥락을 같이하고 있었다. 기본적인 장서구성은 브레이 박사의 세심한 감독을 받아 이루어졌고 이내 목록이 작성되고 도서대출을 위한 규정도 만들어 졌다 • 교구도서관이 최초의 공공도서관이라고 보는 견해와 보지 않는 두 견해가 있는데, 셰라와 같은 이들은 교구도서관을 공공도서관 운동으로서 효과적이라기보다는 상징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언급했고, Laugher는 이들 교구도서관이 공공도서관의 성격을 가지고 효과적으로 운영했기 때문에 해외복음선교회에서 10만권 이상의 자료를 식민지에 보낼 수 있었다고 하여 공공도서관으로 보았다.

  9. 회원제 도서관 • 1731년 벤자민 프랭클린이 회원 각자의 개인 장서를 상호 교환해서 이용하는 회원제도의 도서관을 결성하여 미국 공공도서관의 모체가 됨 • 자발적으로 모인 시민들이 공동자금을 마련하여 공동의 도서를 구입, 비치하여 이용하는 도서관으로서 일대대중에게 책을 이용케 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최초의 성공적인 시도로 평가되고 있다. • 1731년에 미국 최초의 회원제 도서관인 필라델피아 무료도서관 결사가 설립되었고, 백년동안 많은 도서관이 생겨났으며 그 중 보스톤도서관, 뉴우요오크조합도서관, 차알스톤도서관이 유명하다. 일부 회원제 도서관은 오늘날까지도 그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공공도서관의 등장과 더불어 그 자취를 감추었고 아니면 공공도서관으로 변화 발전하였다 • 주로 중류계층 이상을 이용자 대상으로 함.

  10. 특 수 도 서 관 • 서민계층에서 도서관에 대한 요구가 일어나 여러 형태의 특수도서관들이 발생 • 특수도서관은 주로 직업기술을 닦고 여가를 선용하고자 하는 숙련공, 기계공, 서기와 같은 직업에 종사하는 젊은이들을 위해서 설립됨 • 종류에는 직공도서관, 자습생도서관, Boston의 상인도서관, 청소년 대상으로 책을 빌려주는 YMCA도서관등이 있었다. • 특수도서관들의 발생과 문화환경의 조성은 리세움 운동(Lyceum:문화운동)이라는 색다른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이 운동은 성인사회운동의 한 모습이었다. • 리세움 운동과 매우 비슷한 성격을 가진 운동으로 샤토쿠아운동(Chautauqua Movement)이 있었는데 이 운동은 강연회, 음악회, 건전한 오락의 연예 등을 개최하여 대중계몽과 성인교육에 이바지하였다. 그러나 이 운동은 이후 영화, 자동차의 대량생산, 라디오의 출현 등으로 점차 소멸되어 갔다.

  11. 교 육 구 도 서 관 • 특수도서관과 현대적 의미의 도서관 사이의 교량적 역할을 한 도서관 • 국민교육제도를 위한 교육행정의 단위로서 한 개 교육구내의 학교에 설치하여 학교에서 운영토록 하였으나 대체로 성공하지 못함 • 그 이유는 첫째 각 교육구의 재정 곤란에 있었지만 거기에다 도서관 운영에 실패하였기 때문이다. 교육구도서관은 거의가 소규모여서 가뜩이나 빈약한 도서구입비 예산에 장서구성은 이를 반영하는 듯, 낡은 교재나 보잘 것 없는 일반도서, 문학류 등이어서 별로 이용되지도 못하였다. • 또한 도서관 직원은 수서 업무에 미숙하였고, 출판사, 서점업자들은 그 지역대표들에게 커미션을 주고 무작정 납품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교육구도서관의 생명은 길지 않았다. • 교육구도서관이 비록 빈약한 경영과 과도기적인 존재에 불과하였으나, 그것이 근대의 공공도서관 사상을 형성하는데 있어 하나의 기초적인 원리, 즉 공공의 세금에 의해서 모든 지역주민에게 개방되는 도서관 봉사의 개념을 수립한 점에서는 커다란 의의를 가졌다고 할 수 있다.

  12. 현 대 도 서 관 • 1820년대에 들어와서 현대적 의미의 도서관 모습을 형성 • 대표적도서관 • 보스톤 공공도서관(1848년) • George Tickner(1791-1871)와Alexandre Vattemare(1796-1864)에 의해 설립 • Tickner는 EdwareEverett(1794-1865)와 협력하여 ‘도서관은 공중 교육 시스템의 일환인 것이다’라는 사상을 기초로 한 이념 확립 • 수백 명의 시민들의 도서 기증에 의해서 Boston 공공도서관 장서가 이루어지게 됨 • 1850년 창업 초기이래 1871년에는 최초의 분관이 개설되었고, 그후 Boston시 중에는 6개의 분과과 13개의 배본소 등이 설치되기에 이르렀다. • 뉴욕 공공도서관 • Astor가 자선사업의 하나로 건립한 뉴욕 시민을 위한 무상참고도서관과 뉴욕의 부호의 한 사람인 James Lenox가 일반시민을 위해 세운 Lenox도서관, Sawuel. J. Tilden이 사망하면서 뉴욕시에 기증한 20,000여권의 장서를 뉴욕시가 중앙관으로 합병함으로써 실현된 도서관이다. • 현재까지 뉴욕공공도서관은 미국 최대의 공공도서관으로서의 위상을 가지고 있다.

  13. 미국 도서관협회 창설(ALA) • 1876년은 미국문화사상 일종의 기적의 해 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 해에는 공공도서관운동을 놀라울만큼 촉진시켜준 큰 사건들이 속출하였다. • 미국도서관협회(ALA)가 창설되었고, • Library Journal지 창간호가 나왔다. • 아메리카목록과 공공도서관에 관한 연방교육국의 특별보고서가 발행되었다. • 도서관이 필요로 하는 각종 비품을 공급할 목적으로 도서관국이 설치되었다. • 멜빌 듀이가 십진분류법 초판을 내놓았고, 미국도서관협회 탄생의 산파역도 맡았다. 이해부터 세기말까지 미국 도서관계에는 듀이의 영향력이 군림하였다. 1877년에 개교한 미국 최초의 도서관학교를 창립한 이도 그였다. 이해를 기점으로하여 그후 다수의 도서관학교가 설립되었다.

  14. 미국공공도서관의 공적 1. 독자로 하여금 직접 도서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개가제 열람방식과 신착도서목록 발간 그리고 독서상담 실시 등이다. 2. 또한 시사적인 문제나 역사적인 행사에는 이와 관련된 도서관자료를 전시하는 노력도 하였다. 3. 미국 공공도서관의 활동 중에 가장 훌륭한 것 한 가지는 어린이를 위한 봉사활동이다. 4. 미국의 공공도서관이 오늘날과 같은 발전을 이룩하게 된 것은, 주로 개인의 자선에 힘을 입은 지방의 창의력에 있었다고 하겠다.

  15. 미국도서관의 시대별 발전사 1. 17세기 2. 18세기 3. 19세기

  16. 미국의 주요 공공도서관 현황

  17. TheBoston Public Library

  18. 보스턴 공공 도서관의 역사 • 설립 : Massachusetts의 주의회에 의하여 1848년 설립 • 명칭 : 보스턴 공립 도서관 (BLP) • 규모의 변화 - 1848년 16,000권으로 시작 (미국 제1일의 무료 시 도서관) - 1849년 12월 Boylston 거리의 새 건물로 이전 - 1867 ~ 1870년 까지 Branch Library System 개발 - 1872 ~ 1900년 동안 21개의 Branch Library 설립 - 보스턴 부근의 공동체에게 서비스 시작 - 6,100,000 장서 / 1,200,000 희귀본 / 필사본 / 지도 / 악보 등 보유 - 아라비아어~줄루어까지의 60개 언어의 사전 보유 • 대표적 희귀본 소개 - William Shakespeare의 몇 개의 첫번째 간행물 - Mozart의 오리지날 악보 - Prokofiev의 피터와 늑대의 오리지날 악보 5. 도서관 기능 이외의 Program - The Great (Johnson building 소재) : 항상 다양한 예술 전시회 운영 - Wiggin Gallery : 무료 대중 미술관 운영

  19. 현재 보스턴 공공 도서관 현황 • 수탁자 : 9명 (시장에 의하여 위촉) • 무료 Program / Service : 5,000개 • 1년 이용자 : 2,500,000명 • Branch Library : 27개 • 사서직원 : 200명 • 대출권수 : 2,300,000권 • 참고상담 : 1,200,000건 • 카드발급 : 500,000명 (보스턴 시 인구 600,000명) • 건물현황 - 일반도서관 - 연구 도서관 및 공문서 마이크로필름 열람실 [연구 도서관 : PC 및 마이크로 리더기(총 50대)로 열람 및 연구 가능] 10. 대통령의 도서관을 가진 유일한 공공 도서관 (John Adams) 11. 메사추체스주 공문서 도서관 12. 연방정부 공문서 도서관 13. 연방특허자료 문서 보관소 14. 유엔공문서보관소 15. 주 정부 대표도서관 및 협의회 본부, 미국연구도서관협회회원(ARL)

  20. 보스턴 공공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 (1) * Special Program Initatives 특별프로그램 전체 Concept : Branches는 지역주민의 흥미를 위하여 Program 기획 • Online Tutoring Program * 의도 - 국가적 모델로 사용하기 위한 의도하에 프로그램 개발 * 대상 - 보스턴 중학교 학생들과 대학교 가정교사들과 실시간으로 접속 * 내용 - Homework Assistance Program – HAP - Collaborative Schools Program - Reading Readiness - Read Your Way to Fenway - Summer Storymobiles - Summer Reading Program - Reading Incentive Program – RIP - Readers Talk to Writers Series…

  21. 보스턴 공공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 (2) 2. Literacy Service * 의도 : 배우기를 원하는 학습자에게 교육을 시켜주는 제도 (1) Learning English - 자유로이 대화하는 그룹 (City-wide 회원들의 자원봉사 지원) - 1:1 학습지도 - 인터넷 강의 (기초반, 중급반, 고급반) (2) Dudley Literacy Center - 독서 의논 클럽 -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집필하는 클럽 (3) 특별 이벤트와 도서관 투어…

  22.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과의 공공 도서관 비교 자료

  23. 3층 개가실 전경 1층 개가실 전경 청소년 자료실 어린이실 서가모양 인터넷 이용 코너 도서관 중앙 분수대 보스턴 공공 도서관 입구 보스턴 공공 도서관 내부 모습

  24. New York Public Library

  25. 뉴욕공공도서관의 역사 1. 설립배경 1895년 상인인 Astor가 자선사업의 하나로 건립한 뉴욕 시민을 위한 무상참고도서관과 뉴욕의 부호의 한 사람인 James Lenox가 일반시민을 위해 세운 Lenox 도서관, Sawuel. J. Tilden이 사망하면서 뉴욕시에 기증한 20,000여권의 장서를 뉴욕시가 중앙관으로 합병함으로써 실현된 도서관이다. 현재까지 뉴욕공공도서관은 워싱턴 의회 도서관과 쌍벽을 이루며, 미국 최대의 공공도서관으로서의 위상을 가지고 있다. 2. 명 칭 : 뉴욕 공립 도서관

  26. 3. 도서관 규모 • 본 관 • 1895년 설립됐으며 현재 맨해튼 42스트릿에 있는 본관이 문은 연 것은 지난 1911년 5월이며,당시 서고 길이만 17마일에 달했으며 이곳에 진열된 서적도 1백만권을 넘었을 정도다. • 각분관은 네트워크로 연결돼 있으며 어느곳에서나 단말기를 통해 보유자료를 검색해볼 수 있다. • 전체적으로 책만 약 1천8백만권에 이르면 필름, 기록사진 등 총 5천1백만점이 넘는 자료를 보유하고있다. 자료는 지금도 매주 거의 1만점씩 늘어나고 있다. • 특히 지도실은 46만점 이상의 지도와 도해서를 보관한 미국 최대규모 • 2차대전EO연합군이 상륙작전에 앞서 해안선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이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 현재 맨해튼과 브롱스, 스태튼아일랜드에 85개의 분관과 4개의 리서치센터로 구성돼 있다. • 본관만 매년 1백만명 이상이 방문하는등 이용자가 1천6백만명을 넘는다. • 대출건수는 연간 1천 3백만건. 본관내에 강연과 세미나 등을 할수 있는 최신 강당과 정보검색 및 기술 훈련센터로 사용될 시설 보유

  27. 미드핸해튼분관 • 공립도서관 바로 옆에 있으며 분관중 최대규모의 책을 보유. • 개가식이어서 간편하게 열람할수 있다. • 3층에는 5백만점 이상의 각종 사진이나 그림 등을 따로 모아놓은 방이 있다. • 2층의 건강정보센터에는 다이어트 등 건간에 대한 책과 비디오 등으로 가득차 있다. • 또 구직자라면 2층에 마련된 일자리정보센터에 들러볼 만하다. • 일간지는 물론 주간지등에 실린 구직광고를 게시판에 붙여놓고 취업을 돕고 있다. • 그런가하면 직업교육 등의 프로그램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 브라이언트파크 • 본관 뒤 6애브뉴쪽에 널리 펼쳐져 있는 공원. • 불과 몇 년전까지만 해도 마약 중독자들과 마약딜러들이 들끓어 주사바늘 공원이라는 • 별명으로 불리웠다. 그러나 지금은 깨끗하게 정화돼 '도심의 오아시스'같은 기능을 하고 있다. • 특히 여름에는 무료 패션쇼는 물로, 각종 공연과 야회영화상영등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한다. • 이 공원 바로 밑은 지하 2층의 서고로 도서관의 책이 보관돼 있다. • 영국식민지 시절 이곳은 사냥터로 사용됐으며 1911년 이전에는 한동안 식수를 공급하는 저수지였다.

  28. 4. 도서관 제공 서비스 • 무성영화, 콘서트 등 연주회, 전시회 운영 • 어린이를 위한 행사 :그림책보기부터 체스게임, 어린시절 동요 부르기, 비디오상영 등. • 특히 도서관 본관은 누구나 한번쯤 둘러봐야할 관광명소 중 하나. • 맨해튼 40~42스트릿 5애브뉴의 보자르 양식의 웅장한 건물이 바로 본관. • 입구 정면에 있는 두 마리의 사자상은 도서관의 심볼. • 이 건물은 그 아름다움과 품격에 있어 건축예술로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외관은 물로 실내도 도선관이라기 보다 박물관에 들어선 듯한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 도서관측은 몰려드는 관광객들을 위해 아예 1시간짜리 무료 가이드투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일부 분관에서 특별한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 예컨대 맹인을 위한 도서관이 있는가 하면 예술이나 경제등에 대한 자료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곳도 있어 자신의 흥미에 맞춰 방문해볼만 하다. • 이 도선관이 보유하고 있는 자료 중에는 미국 대륙을 발견한 컬럼버스의 편지, 토마스 제퍼슨 자필의 '독립선언'원고, 50만달러 이상의 가치가 있다는 구텐베르크의 '성서', 갈릴레오의 노트 등이 있다.

  29. 필요한 서적이나 자료는 배달해서 받아볼 수도 있다. 거의 유일하게 유료로 이루어지고 있는 「NYPL익스프레스」라는 배달서비스다. 예를 들어 뉴욕타임스 2000년 1월 1일자 밀레니엄 섹션을 받아보고 싶으면 뉴욕 공공도서관 홈페이지에 접속해 신청하면 된다. 3∼4일 걸리는 보통우편은 15달러, 1시간 내에 배달받으려면 50달러를 내면 된다. 희귀 원본의 경우도 복사본으로 배달서비스를 해준다. • 이같은 노력 탓인지 1998년 현재 도서관카드 소지자 수는 273만명에 이르고 있다. 주로 이용하는 서적류도 경제와 전문 서적(33%), 학술서적(16%), 리서치(3%) 기타(48%) 등이다. • 장서 수와 내용도 그렇지만 이 도서관 전체 예산 가운데 30%, 리서치 센터는 70%가 민간 기부금으로 충당된다. 형편없는 국가지원에 의지해 거의 바닥을 면치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 도서관의 재정 상황과 대조적이다. 98년의 경우 뉴욕 공공도서관 1년 수입이 2억300만달러(2400억원)였는데 이 중 6090만달러(730억원)가 기부금으로 충당됐다. • 장애인들을 위한 도서관이 별도로 마련돼 있다. 「앤드루 하이스컬 도서관」이라 불리는 이곳은 말 그대로 「계단 없는 도서관」이다. 모든 시설이 장애인을 위해 마련돼 있는 이곳에는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점자 도서와 오디오 도서, 그리고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수화 비디오 등 특수장치를 사용한 각 분야 서적들이 비치돼 있다. 또 장애인들이 이곳까지 나오지 못할 것을 대비해 시내 85개 브랜치에서 회원 가입과 도서배달 서비스를 해준다. 장애인들이 주문한 도서는 모두 무료로 이들에게 전달된다.

  30. 도서관 사진 자료 Altmanbuilding in 1995. 1995의 Altman건물 주 열람실인 '로즈 열람실' 내부 전경 뉴욕도서관 하루 평균 5만명 이상이 이용하는 뉴욕 도서관. 벽면에는 기부자 명단이 빼곡하다(왼쪽). 셰익스피어의 탄생일이자 '책과 저작권의 날'을 기념해 영국은 모든 어린이들에게 도서할인권인 '북 토큰'을 지급한다.

  31. 카네기도서관 • 앤드류 카네기라고 하면, 철강산업으로 대재벌이 된 ‘강철왕’으로만 알기 쉽다. 문화 사업이나 도서관 건립에 크게 기여한 사람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어릴 때부터 책을 좋아하던 카네기는 크게 성공한 후,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여 카네기 재단이 전 세계에 설립한 도서관이 미국에 2,811개, 외국에 3백여 개나 되었다. • 음악당으로 유명한 ‘카네기 홀’도 물론 카네기가 설립한 것이다. 소년 시절의 카네기는 너무 가난했던 데다가 당시의 도서관 제도는 아무에게나 책을 빌려주지 않는 형편이었기 때문에 읽고 싶어도 마음대로 읽지 못하는 한을 풀기 위해서 도서관을 갖는 것이 꿈이 되었던 것이다.돈을 벌자, 우선 자기 집에 큰 개인 도서관을 짓고 ‘논리적으로 생각하지 못하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이다. 논리적으로 생각하려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비뚤어진 사람이다. 조금도 논리적으로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노예이다.’라는 글을 써붙였다. • 우리 나라는 도서관이 부족하다.어떤 도서관은 예산 부족 때문에 책을 확보하지 못하자,출판사에 편지를 보내 책을 기증해 달라고 애걸(?)하는 경우까지 있다. 카네기의 경지에까지 이르지는 못할지라도 도서관에 투자하는 사람이 많아지기를 비는 마음 간절하다

  32. 카네기도서관 관련 사이트 카네기 카네기홀 쉬어가는 코너 카네기도서관(피츠버그)

  33. Library Company of Philadelphia 벤자민프랭클린 The Library Company of Philadelphia

  34. Redwood Library and Athenaeum

  35. 보스톤 아세니움 (Boston Athenaeum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독립도서관의 하나로 The Monthly Anthology and Boston Review를 편집하기 위해 1805년에 결성된 Anthology Society의 회원 14명에 의해 1807년 창설됨 공공도서관과 지적소산의 보고로서의 역할을 겸했던 영국 Liverpool의 Athenaeum and Lyceum과 비슷한 문예회관을 설립하겠다는 취지 1827년 - 미술관 설립 1851년 - 미국의 5대도서관 중 하나가 됨 현재 - 50만여권의 장서(보스톤과 뉴잉글랜드 지역의 역사, 전기, 영미문학, 미술 관련 자료 보유) 미술관과 강연, 콘서트 등의 다양한 문화행사를 지원 학자와 애서가, 또 다양한 집단의 토론의 중심지로서의 역할 세기의 도서관 사진

  36. 맺 음 말 • 현대공공도서관은 사회기관으로 그 사회의 변화와 요구를 담아낼 수 있는 기관이어야 하고 • 무료이용의 원칙을 활용, 모든 주민들이 자유롭고 평등하게 누구나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열린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접근의 편리성과 정보이용의 편안함을 갖추어 구석구석 지역민들의 접근을 편안히 함으로써 도서관을 지역사회속에 녹아들게 하며 지역주민의 정보격차를 해소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 미국 공공도서관사를 살펴보면서 느낀 것은 전산화가 잘되어 있고 또 잘 활용되고 있다는 점, 직원들이 활기 있고 대응성이 좋다는 점, 아르바이트생을 곳곳에 많이 활용하고 있다는 점, 철저히 고객위주로 되어 있다는 점 등 무엇보다 이용자의 편의에 선 프로그램들이라는 것이다. • 미국의 공공도서관이 발전하게 된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큰 원인은 경제력이라고 생각한다. 예을 들면 Andrew Carnegie와 같은 대부호인 그가 수많은 도서관건물을 기부하고 사후에도 카네기재단이 교육과 문화진흥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우리나라도 대기업들과 대부호의 지원과 정책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사에 대한 더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고 우리와 비슷한 제3세계 국가들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도서관사에 대한 인식을 더욱 풍부히 하는 것도 우리 준사서 A반의 장기적인 임무라는 생각이 든다 • 공공도서관 사서의 중요성 • 전문직사서가 도서관과 함께 동일시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 사서는 먼저 정보전문가,상담자, 문제해결사가 되어야 한다 • 지역사회 변화에 관심을 가져, 지역사회를 담당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에서 구체적으로 지역사회구성원의 변화와 요구에 민감하게 대처할수 있어야 하며, 사서로서의 입지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특징과 구성원의 유형, 요구등을 섭렵할수 있는 자료구성과 활동영역을 제시해 주어야 함.

  37. 참고문헌 및 Web Site http://myhome.hanafos.com/~bjp923/lec/histo/2002/theme.htm 지구촌소식-눈높이 도서관 http://lis.yonsei.ac.kr/~infobank/LIS_InfoBank/library/us_public.htm http://myhome.hanafos.com/~bjp923/lec/histo.htm 도서관운동연구회. 영어번역소모임. (1998) "미국 미시간주의 LSTA에 따른 도서관계획,"「도서관운동」4(4) pp.33-42. 도서관운동연구회. 영어번역소모임. (1999) "LSTA원문,"「도서관운동」5(1) pp.59-75.</span> 문영순. (1998) "도서관진흥과 재정: 한국의 공공도서관과 미국의 LSTA를 중심으로," 「도서관운동」 4(4) pp.9-18 서혜란. (1992) 공공도서관의 재원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span> 한국. 문화관광부. (2000) 도서관정보화종합계획. 국무회의 보고자료. (http://203.237.248.251두산세계대백과사전 encyber http://www.clpgh.org/ein/andrcarn/ http://www.andrewcarnegie.cc/ 도서관문화사 / 정필모 오동근 공저, 구미무역(주)출판부, 1998년.p160~161,p173. Michael H. Harris 著, 김명숙·정연경 譯, 서양도서관사, 지문사, 1991 박상균 編著, 세계도서관학사상사(근대도서관사의 재조명), 민족문화사, 1998 小倉親雄 著, 박희영 譯, 미국도서관사상의 연구(MelvilDewey의 사상과 그의 업적), 아세아문화사, 1990 배현숙 저, 정보문화사, 아세아문화사, 1999 정필모·오동근 공저, 도서관문화사, 1998 http://home.inje.ac.kr/~kaebi http://www.libforum.com http://libinfo.cjb.net http://www.ifl.or.kr

  38. 감사합니다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오늘 한 사람이라도 기쁘게 해 주어야지,하는 생각과 함께 하루를 시작하십시오.햇빛은 누구에게나 친근감을 줍니다.웃는 얼굴은 햇빛처럼 누구에게나 친근감을 주고 사랑을 받습니다. 인생을 즐겁게 살아가려면 먼저 찌푸린 얼굴을 거두고 웃는 얼굴을 만들어야 합니다.명랑한 기분으로 생활하는 것이육체와 정신을 위한 가장 좋은 건강법입니다.값비싼 보약보다 명랑한 기분은 언제나 변하지 않는 약효를 지니고 있습니다.- 우덕현의 <기쁨을 주는 사람이 됩니다> 중에서 -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