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0 likes | 1.22k Views
제 4 장 정보전송기기. 4.1 정보통신 시스템의 구성 4.2 정보 처리계 3.3 정보 전송계 ◐ 연습문제. 모뎀과 DSU(Digital Service Unit). 모뎀의 송신부 . [1] 스크램블러 (scrambler) [2] 변조기 (modulator) [3] 필터. 모뎀의 수신부 . [1] 자동이득조절기 (AGC : Automatic Gain Control) [2] 등화기 (Equalizer) [3] 디스크램블러. 모뎀의 수신부 .
E N D
제4장 정보전송기기 • 4.1 정보통신 시스템의 구성 • 4.2 정보 처리계 • 3.3 정보 전송계 • ◐ 연습문제
모뎀의 송신부 • [1] 스크램블러(scrambler) • [2] 변조기(modulator) • [3] 필터
모뎀의 수신부 • [1] 자동이득조절기(AGC:Automatic Gain Control) • [2] 등화기(Equalizer) • [3] 디스크램블러
모뎀의 수신부 • [1] 자동이득조절기(AGC:Automatic Gain Control) • [2] 등화기(Equalizer) • [3] 디스크램블러
모뎀의 분류 • [1] 저속모뎀 • [2] 중․고속 모뎀 • 2,400[bps] 모뎀
[3] HSM(High Speed Modem) • [4] 선로 구동기(LDM:Line Driver Modem)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 •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synchronous time-division multiplexing)는 • 한 전송로의 데이터 전송 시간을 일정한 시간폭으로 나누고 한 프레임을 • 동기시키기 위해 동기 클럭을 차례대로 전송하고 수신단에서는 • 동기 클럭을 검출하여 차례대로 수신 단말기에 뿌려주는 방식
집중화기(Concentrator) • 호스트 컴퓨터로의 전송을 위하여 여러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 고속 선로 상에 조합할 수 있고, 그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장치
자동 응답기 • 자동 응답기(Automatic Answering Unit)는 모뎀에 내장하여 있으며, • 단말장치 이용자의 호출을 컴퓨터 측에 접속하여 준다
자동 호출기 • 컴퓨터나 단말기가 다른 컴퓨터나 단말기와 교환회선을 통해 데이터 • 전송을 원할 때 상대방을 호출하여 연결하며, 데이터 통신망에서 • 선로의 이용률을 크게 향상시켜 준다
모뎀 공동 이용 장치(MSU)와 선로 공동 이용 장치(LSU)
MSU, LSU와 포트공동이용기(PSU)의 비교 • ① 단말기의 접속은 MSU/LSU, PSU 모두 폴(poll)로 이루어진다. • ② 표준 인터페이스의 위치에서는 MSU/LSU는 모뎀과 단말간에 이루어 • 지며, PSU의 경우는 컴퓨터 포트와 모뎀사이에 이루어진다. • ③ 인터페이스는 MSU/LSU는 RS-232C 인터페이스(MSU와 모뎀)로 • 주어지며, PSU의 경우는 로컬 인터페이스(PSU와 모뎀)로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장비 • 개요 • IEEE 컴퓨터 표준위원회에서는 LAN을 “다수의 독립된 컴퓨터기기들이 • 비교적 한정된 지역내에서 에러율이 낮고, 상당히 빠른 속도의 물리적 • 통신채널을 통하여 상호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데이터통신 시스템” • 이라고 정의하였고, William Stalling은 “LAN은 가까운 지역 내에서 다양한 • 데이터통신기기의 상호연결을 제공하는 고속의 통신네트워크이다”라고 • 정의하였다.
매체 엑세스기기 • [1] 트랜시버(transceiver)
노드 접속기기 • 트랜시버는 스테이션을 전송매체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간단한 신호변환 • 과 같은 물리계층기능을 지닌 장치이다. 물리계층기능 뿐만 아니라 OSI 참 • 조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과 전송 계층의 기능을 포함하고, 스테이션을 매체 • 에 직접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
상호 접속기기 • [1] 리피터(repeater)
[6] 스위치(switch) • (고속)이더넷스위치장점 • 가상(virtual) LAN을 지원할 수 있다 • 기존에 설치된 LAN 방식으로 기존에 LAN의 물리적인 형태와 관계없이 • 자유자재로 LAN 세그먼트를 조절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