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5

M agnetic R esonance I maging QC

M agnetic R esonance I maging QC. Kim Mi Young 1004atom@paran.com. 정도관리 기록검사. 매일 점검 항목 (6) 매주 점검 항목 (2) 1 개월 점검 항목 (5) 3 개월 점검 항목 (2) 1 년 점검 항목 (2). 매일 점검 항목. [ 기본적으로 기계를 사용하기 위해 점검하는 항목 ]. 테이블 이동점검 하드카피장치의 작동점검 (PACS 사용 시 해당사항 없음 ) 항온 , 항습기 작동점검 데이터 저장장치의 작동점검

owen
Download Presentation

M agnetic R esonance I maging QC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MagneticResonanceImaging QC Kim Mi Young 1004atom@paran.com

  2. 정도관리 기록검사 • 매일 점검 항목(6) • 매주 점검 항목(2) • 1개월 점검 항목(5) • 3개월 점검 항목(2) • 1년 점검 항목(2)

  3. 매일 점검 항목 [기본적으로 기계를 사용하기 위해 점검하는 항목] • 테이블 이동점검 • 하드카피장치의 작동점검(PACS 사용 시 해당사항 없음) • 항온, 항습기 작동점검 • 데이터 저장장치의 작동점검 • 현상기 성능관리(PACS 사용 시 해당사항 없음) • 환자모니터 시스템 작동관리

  4. 매주 점검 항목 • 판독실의 조명, 환기, 온도, 소음점검 • 응급환자의 구조용 시스템 점검 • 소생술 담당자 선임 및 교육 • 응급연락체계 • 응급처치세트 구비 및 작동

  5. 1개월 점검 항목 [동일 장비에서 동일한 coil, 동일한 phantom, 동일한 protocol 사용] • 중심주파수 점검(CF) • 트랜스미터 획득 및 감쇄(TG) • 위치확인영사의 정확성(position) • 영상에서의 측정치와 실측치의 비교평가(geometric precision) • 인공물 점검(artifact) • Who? • MRI technologist • Medical or MR physicist or Radiologist

  6. 1개월 점검 항목 1. 중심주파수(center frequency) 점검 • 주자장의 안정성 확인 • 자체팬톰 이용, 각 장비회사 별 방법에 따라 측정 • 참고치: 장비구입 후 최초 측정치 • 변화량 허용치: 1.5ppm • 매달측정치와 변화량을 점검표에 기록 • 원인: 잘못된 자기장 균일화 작업(unaccounted shimming)

  7. 1개월 점검 항목 2. 트랜스미터 획득 및 감쇄(transmission gain) • RF와 관련된 부품들의 문제 확인 • 자체 팬톰 이용, 각 장비회사 별 방법에 따라 측정 • 회사별로 측정단위와 기준치가 다름 • 정도관리 점검표에 측정치/기준치를 기록 • 원인: 뇌 전용코일의 calibration에 문제가 있거나 • RF신호 증폭기 성능저하(calibration of head coil, RF amplifier)

  8. 1개월 점검 항목 3. 위치확인영상의 정확성(table positioning) • 단면영상의 촬영위치에 대한 정확성 확인 • 팬텀외관의 중심부에 +표시를 하고 시상면 촬영 • 팬텀 상단끝부분에서 영상 최상단까지 거리(d1) • 팬텀 하단끝부분에서 영상 최하단까지 거리(d2) • 상단과 하단거리의 차이(d2-d1)로 측정 • 5mm이내로 유지되어야 • 원인: 경사자장의 선형성과 • 주자기장의 균일도에 문제

  9. 1개월 점검 항목 4. 영상에서의 측정치와 실측치의 비교평가(geometric accuracy) • 영상의 공간적 왜곡 여부 확인 • 자체 팬텀 직경 실측 • 실측정치와 영상에서의 측정치는 ±3mm 이내여야 함. • 원인: 경사자장의 선형성과 주자기장의 균일도 문제 • 너무 낮은 receiver bandwidth를 사용

  10. 1개월 점검 항목 5. 인공물 점검항목(image artifact assessment) • 인공물 유무에 따라 [있음 or 없음]으로 기록 • 팬텀이 원형 or 타원형이어야 하고 뒤틀리지 않아야 한다. • 팬텀 영상의 허상(ghost image)이 보이지 않아야 • 밝거나 어두운 선, 점들이 영상 안에 보이지 않아야 한다. • 새로운 패턴이 영상에 보이지 않아야 한다. • 원인: 영상 측정 시 팬텀의 움직임, 시스템 문제로 인한 신호의 불안정성

  11. 3개월 점검 항목 1. 임상영상 평가 • 전속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평가 • 임상영상검사와 동일한 서식과 방법 • 장비 용도별로 필요한 부위의 영상을 평가하고 기록 보관

  12. 3개월 점검 항목 2. 판독용 모니터 관리 • 판독실의 밝기는 50Lux 이하로 유지 • 판독실의 실내온도는 25도 이하로 유지 • 사용하지 않을 때 모니터가 꺼져 있어야 수명 연장 • 적어도 1주일에 1회는 모니터의 화면을 청소

  13. 1년 점검 항목 1. 판독대의 조도측정(PACS 시 해당없음) • 7000Lux 이상 2. 판독실의 조도측정 • 50Lux 이하

  14. MRI 팬텀영상검사 Kim Mi Young 1004atom@paran.com

  15. MRI 팬텀 ACR(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MRI phantom • 아크릴 플라스틱(148×190mm) • 내부는 10mM NiCl2, 75mM NaCl 용액 • 바깥쪽으로는 [nose]와 [chin]이라는 글자

  16. 영상 획득 • 두부코일 • 시상위치확인영상(sagittal localizer image) • 축상면 시리즈(axial series) • 표준 시리즈(표준영상) • 병원 고유 시리즈(병원고유영상), (slice thickness/gap 불변)

  17. 표준 팬텀 위치 설정

  18. 검사 항목 절편설정선 정하기

  19. 영상 획득 1. 팬텀영상: 시상위치확인 영상(sagittal localizer image) 45도쐐기 Low Contrast disk 100mm 격자 148mm NOSE 분해능 측정기 (resolution insert) 45도쐐기 CHIN 190mm

  20. 영상 획득 • 절편설정선 위치 주의 • 절편 #1은 팬텀 아래쪽의 쐐기의 가운데 홈에 중심을 맞춘다. • 양쪽 쐐기 가운데 홈 사이는 100mm 떨어져 있으므로 • 절편 #11은 위쪽 쐐기의 가운데 홈에 중심이 오게 된다.

  21. 영상 획득 2. 팬텀영상: 축상 시리즈(axial image)

  22. 영상 획득 3. 팬텀영상검사 제출영상 • 평가를 위해 window setting을 바꿈 • 영상에 측정(ROI 크기, SI, 길이)을 한 상태의 영상 • 검사항목 순서대로 필요한 영상 배열 • 검사예정일 1개월 내에 촬영 • JPG, DICOM, Hard Copy film 등의 형태로 저장

  23. 영상 획득 Window setting 조절 후 길이 측정된 시상위치측정영상과 측정치 Window setting 조절 후 길이 측정된 표준 T1 절편 #5와 측정치 기하학적 정확도

  24. 영상 획득 횡렬 분해능이 가장 좋게 window setting된 표준 T1 절편 #! 공간분해능 표준 T1 절편 #1과 상하 signal ramp의 내부 신호강도 측정치 절편두께 정확도

  25. 영상 획득 window setting 조절 후 표준 T1 절편 #!과 위 아래 signal ramp 길이 측정치 절편두께 정확도 window setting 조절 후 표준 T1 절편 #!과 수직막대 길이 차이 측정치 절편위치 정확도

  26. 영상 획득 window setting 조절 후 표준 T1 절편 #1!과 수직막대 길이 차이 측정치 절편위치 정확도 window setting 조절 후 표준 T1 절편 #7과 내부 ROI와 SI 측정치 영상 강도 균일성

  27. 영상 획득 window setting 조절 후 표준 T1 절편 #7과 Lowest SI ROI 및 SI 측정치 window setting 조절 후 표준 T1 절편 #7과 Highest SI ROI 및 SI 측정치 영상 강도 균일성

  28. 영상 획득 표준 T1 절편 #7에서 상하좌우 4개의 ROI 및 각각의 SI 측정치 고스트 신호 백분율 window setting 조절 후 표준 T1 절편 #8에서 #11까지 대조도 분해능

  29. 검사 항목 • 기하학적 정확도(geometric accuracy) • 공간 분해능(high contrast spatial resolution) • 절편 두께 정확도(slice thickness accuracy) • 절편 위치 정확도(slice position accuracy) • 영상 강도 균일성(image intensity uniformity) • 고스트 신호 백분율(percent signal ghosting) • 대조도 분해능(low contrast object detectability)

  30. 검사 항목 1. 기하학적 정확도(geometric accuracy) • 정의: 영상에서 나타나는 길이가 대상물의 실제 길이를 • 나타내는지 정확도를 평가

  31. 검사 항목 2. 공간 분해능(high contrast spatial resolution) • 정의: 가까이 위치하는 점들이 각각 구별되는지를 시각적으로 평가 • 표준 T1 및 T2 또는 병원 고유 T1 및 T2의 절편 #1에서 평가

  32. 검사 항목 3. 절편 두께 정확도(slice thickness accuracy) • 정의: 영상 절편이 정확한 두께로 얻어지는지 평가(실제 두께 5mm)

  33. 검사 항목 4. 절편 위치 정확도(slice position accuracy) • 정의: 얼마나 정확한 위치에서 절편영상이 얻어지는지를 평가

  34. 검사 항목 5. 영상 강도 균일성(image intensity uniformity) • 정의: 대부분 물로만 이루어진 절편 #7의 영상 중앙부위에서 • 신호강도의 균일성 평가

  35. 검사 항목 6. 고스트 신호 백분율(percent signal ghosting) • 정의: 영상에서 고스트 인공물 생성 정도를 절편 #7에서 측정

  36. 검사 항목 7. 대조도 분해능(low contrast object detectability) • 정의: 어느 정도 낮은 대조도까지 구분할 수 있는가를 • T1 및 T2의 절편 #8- 절편 #11에서 평가

  37. 검사 항목 7. 대조도 분해능(low contrast object detectability) • 정의: 어느 정도 낮은 대조도까지 구분할 수 있는가를 • T1 및 T2의 절편 #8- 절편 #11에서 평가

  38. MRI 임상영상검사 Kim Mi Young 1004atom@paran.com

  39. 특수의료장비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

  40. 임상 검사 • 두부 MR 임상 영상 검사 • 요추 MR 임상 영상 검사 • 경추 MR 임상 영상 검사 • 슬관절 MR 임상 영상 검사 • 견관절 MR 임상 영상 검사 • 발목 관절 MR 임상 영상 검사

  41. 임상 검사 • 정도관리기록검사 • - 3개월 주기 • - 시행자: 각 병원 MR 관리자인 영상의학과 전문의 • - 품질관리원에서 제시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 • - 정도관리기록지에 시행유무 표시 • - 평가표 보관: 시행자, 시행일, 해당환자 ID포함 • 정밀검사 • - 3년 주기 • - 시행자: 품질관리원의 MR 검사위원 • - 각 병원은 제출선행조건에 맞춰 영상 제출 • - 검사위원 2인의 합의하에 합격유무 판정

  42. 임상 검사 • 제출영상 • - 두부(brain) • - 요추(L-spine) • - 경추(C-spine) • - 슬관절(knee) • - 견관절(shoulder) • - 발목관절(ankle) • - 검사신청일 전 3개월 이내에 환자를 대상으로 촬영한 영상 중 • - 3명씩의 필름(예, 두부 3명, 요추 3명, 슬관절 3명)을 의료기관이 • 임의 선택하여 준비 • - 선택된 필름 중 부위별 1명의 필름을 품질관리원 연구원이 • 무작위 선정 • - 선정된 필름은 검사자료로 사용하고 • 사용된 영상자료는 검사가 완료된 후 의료기관에 반송

  43. 임상 검사 • 합격조건 • - 구성항목별 점수 총점 • 일반정보항목 점수(20점) • 영상정보항목 점수(80점) 총 100점 • - 일반정보항목, 영상정보항목 각각 60%이상이면 합격 • 일반정보항목 점수는 12점 이상 • 영상정보항목 점수는 48점 이상 총 60점 이상 • - 제출한 3부위 MR 영상 모두 합격해야 최종 합격

  44. 두부 임상 영상 검사 • Pulse sequence : SagT1, AxT2 • 정상으로 판독한 영상 • 조영 증강 을 하지 않은 영상 • 뇌 질환을 평가하기 위한 일반적인 두부영상 • 절편두께 : 5mm이하, 절편간격 : 2.5mm 이하 • 격자 수(matrix): 256 X 256 이상

  45. 두부 임상 영상 검사 Ax T2WI ( T2 강조영상) • 두정부에서 두개골 기저부까지 포함 • 두개골의 전후, 좌우 전체 포함 • 양측 대뇌 반구의 좌우 대칭

  46. 두부 임상 영상 검사 Sag T1WI • 두경부에서 두개골 기저부까지 포함 • 정중앙 영상이 포함

  47. 두부 임상 영상 검사 영상 대조도 AxT2WI • 뇌 회백질의 구분 가능 (Gray matter & White matter) • 기저 핵의 세부구조가 구분

  48. 두부 임상 영상 검사 영상 대조도 AxT2WI • 근위 부 중대뇌동맥(M1)이 전장에 걸쳐 추적 가능 • internal cerebral vein이 전장에 추적 가능.

  49. 두부 임상 영상 검사 영상 대조도 AxT2WI • 중뇌의 red necleus와 substantia nigra 구분 • 다섯 번째 뇌신경의 cisternal segment가 확인

  50. 두부 임상 영상 검사 • 연수의 olive의 돌출이 확인 (Sag T1WI) • 안구의 중앙 준위에서 양측 소뇌의 뇌 회백질 구분 가능

More Related